Showing posts with label CygWIN.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CygWIN. Show all posts

2011/01/29

작업 표시줄에 Cygwin 아이콘 고정하기

Cygwin 을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생성되는 시작메뉴의 Cygwin Bash Shell 을 실행해서 작업표시줄에 고정을 하면 다음에 실행할 때에는 도스 명령창만 실행이 된다. 작업 표시줄에 고정을 하기 위해서는 단축아이콘을 새로 만들어 고정을 하면 된다.



현재 Cygwin 이 설치된 경로는 D:\Dev\Cygwin 이다.




Cygwin 설치 경로에 있는 실행 패치파일(cygwin.bat) 실행하는 단축아이콘을 만든다.

이때 실행 명령은 아래처럼 입력한다.




C:\Windows\System32\cmd.exe /c D:\Dev\Cygwin\Cygwin.bat




단축아이콘 이름을 Cygwin 으로 설정하고 아이콘 설정을 Cygwin 이 설치된 경로의 Cygwin.ico로 설정을 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의 메뉴 중에서 "Pin to Taskbar" 를 선택하여 단축아아콘을 작업표시줄에 고정한다.




아래 이미지는 작업한 순서대로 갈무리한 화면이다.




Cygwin.bat 실행 단축아이콘 만들기

Cygwin.bat 실행 단축아이콘 만들기




단축 아이콘 이름 지정

단축 아이콘 이름 지정




단축아이콘에 아이콘 지정

단축아이콘에 아이콘 지정




작업표시줄에 고정

작업표시줄에 고정




고정된 Cygwin 실행 단축아이콘

고정된 Cygwin 실행 단축아이콘



<

Original Post : http://neodreamer-dev.tistory.com/496

2010/01/08

Cygwin 설치하기

Cygwin 은 윈도우 시스템에 Linux와 비슷한 환경을 말들어 주는 프로그램 이다. 설치는 비교적 간단하다. Cygwin 홈페이지에서 setup.exe 파일을 다운받아 실행하면 된다. setup.exe 는 메인페이지의 약간 아래 부분에 Install or Update Now! 라는 타이틀로 링크가 걸려 있다.


setup.exe 는 아주 작을 실행파일로 이 파일을 실행시켜 인터넷 혹은 미리 받은 패키기로부터 설치할 수 있다.


setup.exe를 실행 시키고 Install form Internet 을 선택한다.



Cygwin root 경로를 지정한다.



인터넷으로부터 다운 받을 패키기를 저장할 경로를 지정한다.



인터넷 연결은 Direct Connection 을 선택한다. (필요한 경우 Proxy 설정을 입력한다.



다운 받을 위치는 ftp://ftp.kaist.ac.kr 을 선택한다. (다른 사이트를 선택해도 무방할 듯 하다. 단지 속도가 문제가 될뿐...)



선택된 위치에 접속을하여 가능한 패키지 목록을 가져온다.



처음 설치의 경우 설치할 패키지를 선택할 수 있다는 알림창이 뜬다.



알림창에서 OK를 선택하면 아래와 같이 설치할 수 있는 패키기 목록이 대화상자에 출력된다. 본인은 개발과 관련 된 작업을 하기 위해서 Devel/gcc-g++, Devel/gcc-core, Editor/vim 을 선택하였다. 현재 창에서 모두 설치할 필요는 없고 나중에 다시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할 수 있다.



패키지 선택을 마치고 "Next"를 선택하면 지정한 사이트로부터 선택되어진 패키기를 다운 받아 설치를 한다. 선택된 패키지의 수에 따라 설치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설치를 마치면 단축아이콘 설정 대화 상자가 나타난다.



이제 설치를 마쳤다.

시작 메뉴의 Cygwin  하위에 Cygwin Bash Shell 메뉴가 생성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Cygwin Bash Shell 을 실행시키면 아래와 같은 Bash Shell 화면을 볼 수 있다.






<

Original Post : http://neodreamer-dev.tistory.com/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