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Android.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Android. Show all posts

2020/12/29

[Android][Kotlin] Hello World

 코틀린을 이용하여 안드로이드 앱을 만들어 보기로했다.

그래서 새로운 언어를 배우는 첫 번째 관문인 Hello World를 도전해 봤다.


Android Studio 4.1.1 버전을 이용하며 시도해보았다.

Kotlin plugin이 기본으로 설치가되어 있어서 별도로 설정해 주어야 할게 없었다.


Android Studio 를 실생시켜 새로운 프로젝트를 만들었다.


"Empty Project"를 프로젝트를 생성하여 프로젝트 이름과 Kotlin 설정만 하였다.


기본적으로 만들어진 프로젝트를 AVD를 이용하여 실행해 보았다.


짜잔~ 앱이 실행되었다.



이제 슬슬 공부를 해봐야겠다.

2013/07/23

Android Studio에 기존에 설치한 Android SDK 사용하기

구글에서 발표한 Android Studio 를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SDK가 설치된다.



하지만 기존에 개발에 이용을 하던 SDK가 있다면 이를 이용하도록 설정을 하여 사용하면 된다.



그러면 하나의 SDK로 여러 개발툴어서 사용할 수 있어 SDK관리를 좀 더 쉽게 할 수 있다.



설정은 Project Structure 설정 창에서 할 수 있으며 이 창은 Android Studio 의 File 메뉴에 있는 메뉴를 선택하여 호출할 수 있으며 Android Studio 시작시 보여지는 Welcome 대화상자에서 "Configure > Project Defaults > Project Structure" 순으로 선택하면 볼 수 있다.




가운데 리스트위의 녹색 십자가를 선택하여 기존의 SDK 경로를 설정해 주고  Project 설정에서 해당 SDK를 설정한다.



이제 기존 SDK를 사용할 준비가 된 것이다.

이 SDK를 이용하여 프로젝트를 이용하여 Project를 생성할 때 아래와 같은 메시지가 출력되는 경우가 있다.



찾아 본 결과 이 경우는 SDK 에서 Android Support가 설치되지 않아서 발생한 문제이기때문에 "Android Support Repository"와 "Android Support Library"를 설치해 주면 된다.

&

Original Post : http://neodreamer-dev.tistory.com/718

2013/05/22

구글에서 공개한 안드로이드 개발 환경 - Android Studio v0.1



2013 Google IO 에서 공개한 Android Studio 0.1 을 설치해 보았다.

Android Studio 는 IntelliJ를 기반으로 안드로이드 개발에 최적화 한 개발 툴이다.

설치는 간단하였다. 설치 파일을 받아 실행만 하면 된다.


Android Studio 에 기본적으로 SDK가 포함되어 기존 SDK와 중복이 되어 관리가 귀찮을 듯 해서 android studio 의 SDK 경로를 기존 SDK 경로로 변경해 주었다.

변경 방법은 시작 대화상자에서 Configure -> Project Defaults -> Project Structure 대화상자에서 설정해 주면 되었다.




기본 프로젝트를 만들고 실행해 보았다.



앞으로의 안드로이드 개발 공부는 Android Studio를 이용하여 봐야겠다.


Getting Started with Android Studio

&

Original Post : http://neodreamer-dev.tistory.com/711

2013/05/07

Intel® HAXM을 이용한 쾌적한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 구성하기

인텔의 VT 기술을 이용한 가상화 엔진인 Intel Hardware Accelerated Execution Manager(Intel® HAXM)를 이용하면 느린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를 보다 쾌적하게 구성할 수 있다고 한다.


우선 SDK Manager를 이용하여 "Intel x86 Atom System Image"를 설치한다.



설치 한 후 새로운 에뮬레이터를 생성한다. 이 때 아래 이미지에서 보는 것과 같이 안드로이드 버전을 4.2.2로 설정하고 CPU를 Intel Atom으로 설정한다.



생성한 에뮬레이터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Open HAX device failed 메세지와 나오는 경우가 있다.

 

이 때 Intel Hardware Accelerated Execution Manager를 설치해 주면 해결된다. 

 

Intel® Atom™ x86 Image for Android* Jelly Bean 4.2 Installation Instructions&

Original Post : http://neodreamer-dev.tistory.com/706

2013/01/01

IntelliJ IDEA 12로 안드로이드 개발하기 - Hello Android

2013/01/01 - [Dev Story] - IntelliJ IDEA SDK 설정하기


IntelliJ 를 사용하게된 이유가 안정정이고 빠른 Java 개발 IDE로 알려졌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Android 개발을 지원한다는 것이 더 큰 이유이다.


다행스럽게도 JetBrains에서 제공하는 IntelliJ 의 두 버전(Ultimate Edition, Community Edition) 모두 안드로이드 개발을 지원한다.


언어를 처음 접할 때 실습하는 Hello World 유사하게 Hello Android 를 작성하여 보았다.


우선 IntelliJ 시작하여 "Create New Project"메뉴를 선택한다.



"New Project" 메뉴에서 프로젝트의 이름과 경로를 설정하고 프로젝트에 사용 될 Android SDK 버전을 설정한 후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Package 이름과 Activity를 설정하고 대상 장치를 설정한다. 설정 후 완료 버튼을 누른다.



아래 화면은 설정을 마치고 난 후의 IntelliJ의 프로젝트 화면으로 필요한 파일들이 생성된 모습니다.



아무런 수정 없이 메인 메뉴의 시작 버튼을 눌러 프로그램을 시작해 보았다.



프로그램을 시작하면 설정된 Emulator가 시작되지 않았을 경우 이를 실행하고 프로그램을 동작 시킨다.

아래 화면은 프로그램이 실행된 Emulator의 화면이다.



프로그램 작성은 Eclipse 크게 다르지 않으면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것 같다. 하지만 안드로이드 개발에 있어 Eclipse 보다 빠르고 안정적인지 보다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지는 좀 더 사용을 해 봐야 알 수 있을

Original Post : http://neodreamer-dev.tistory.com/692

IntelliJ IDEA SDK 설정하기



Java를 사용하는 경우는 안드로이드 공부를 할 때 밖에는 없지만 eclipse가 많이 느려서 빠르고 안정적인 Java 개발환경이라고 하는 IntelliJ 는 어떤 환경일지 궁금해서  설치를 해 보았다.



IntelliJ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Community Edition과 비용을 지불해야하는 Ultimate Edition으로 나뉘어 있으며 두 버전 모두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현재 최신 버전은 v12 이다.



개인적으로 설치형 프로그램을 그리 좋아 하지 않아 이번에도 가상 PC에 설치한 후 설치된 파일을 호스트 PC로 옮겨서 사용을 하였다.



처음 기동후 프로젝트를 만들어도 정상적인 프로젝트가 만들어지지 않았다. SDK설정이 되어있지 않아서 발생한 문제로 보였다. 기동후 SDK를 설정한 후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문제가 없었다



IntelliJ를 처음 기동할 때 설정할 수 있고 나중에도 설정이 가능하다. 아래 방법은 IntelliJ를 처음 기동할 때 설정하는 방법이다.



IntelliJ 처음 기동하는 화면에서 Configure 메뉴의 Project Default 하위 메뉴의 Project Structure 메뉴를 선택한다.





Project Structure 대화상자에서 좌측 메뉴의 Project를 선택하고 Project SDK 항목의 New... 버튼을 클릭하여 JDK메뉴를 선택하고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JDK 경로를 설정한다.





안드로이드 개발을 위해서 같은 방법으로 Android SDK 경로를 설정하고 원하는 플랫폼 버전을 선택한다.



 

이제 IntelliJ 를 실행하면 설정된 SDK를 기반으로 프로젝트를 생성하게 된다.&

Original Post : http://neodreamer-dev.tistory.com/691

2012/07/16

200개의 단계별 예제로 배우는 안드로이드 4.0
































안드로이드4.0안드로이드사이드운영자가직접전수하는

카테고리

컴퓨터/IT > 네트워크/보안

지은이

한동호 (제이펍, 2012년)

상세보기






새로운 맘으로 다시 공부를 시작해 보려 책을 샀다. 두툼한 책으로 예제 중심으로 되어 있고 최식 버전에 대한 설명도 있다.


안드로이드의 기본 개념부터 구성및 기초 그리고 활용까지 다루고 있다. 작가도 Android Side 운영자이면서 Java관련 서적을 다수 집필한 한 동호 님이다.


목차 보기



아직 읽기전이라 서평을 하기는 이른 단계이지만 목차의 구성으로 봐서는 꽤 유용한 책으로 생각된다.

틈틈이 조금 공부하다 한동안 잊고 있었더니 그동한 공부해왔던 내용도 잊었다.

취미 생활격으로 하다보니 시간도 그리 많지 않고 자주 잊어버리곤 하는데 처음부터 다시 시작 하는 맘으로 공부를 해봐야 겠다. 


아이들이 표지를 보더니 
맛있는 초코렛이라고 달려들었는데 나에게도 이 책이 그렇게 맛있는 모습로 다가와 주었으

Original Post : http://neodreamer-dev.tistory.com/671

2012/07/03

Hello Jelly Bean on Juno (Eclipse 4.2)

Android Jelly Bean 이 발표 되고 얼마 지나서 Eclipse 의 새로운 버전이 나왔다. Eclipse 4.2 버전은 Juno라는 이름을 달고 나왔다.



새로운 개발 환경도 구축할 겸 해서 Juno로 안드로이드 개발 환경을 구축하였고 언제나 하는 Hello Project를 만들었다.



새로운 프로젝트를 만든는 절차는 크게 바뀌지 않았다.



중간에 UI 관련하여 추가로 설정하는 단계가 추가 되었다.



그리고 Activity 관련 설정도 추가되었다.





마지막 단계에서 "Android Support Library" 문제에 봉착을 하였다.



현재 설치된 버전이 9임에도 검출되지 않았고 UI에서의 지시에 따라 몇번의 Install 시도를 해 보았지만 마지막 단계로 가는 Finish 버튼이 활성화 되지 않았다.



결국 Juno를 종료하고 SDK Manager 에서 이미 설치되어 있던 Version 9를 삭제하고 다시 설치하였다.





다시 실행시킨 Juno에서 프로젝트 생성 단계에 문제가 생기기 않았다.



Hello 프로젝트를 진저브레드와 젤리빈 에뮬레이터에서 실생시켜 보았다.

 



조정이 가능한지 모르겠지만 젤리빈에서의 작업 영역이 줄어들었다.&

Original Post : http://neodreamer-dev.tistory.com/668

2012/03/06

안드로이드 Widget 만들기 - HelloWidget

간단한 위젯을 만들어 보았다.



책이고 인터넷이고 찾아보았는데 쉽게 설명해 놓은 것이 없어 만드는데 고생을 좀 했다. 설명이 부족하다기보다는 기초가 덜 되어 있어 그런 것 같다.



나중에 또 잊어버릴까봐 나름 정리해 보았다.



간단하게 단계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Widget용 layout xml 작성 

  2. Provider용 xml 작성 

  3. Manifest에 Receiver 추가 

  4. Receiver에 Class 생성


우선 기본 Activity를 생성하지 않는 프로젝트를 만든다.



만들어진 프로젝트에 Widget Layout을 위한 XML 파일을 추가한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LinearLayout xmlns:android="http://schemas.android.com/apk/res/android"
android:layout_width="match_parent"
android:layout_height="match_parent"
android:orientation="vertical" >

<TextView
android:id="@+id/textHello"
android:layout_width="match_parent"
android:layout_height="wrap_content"
android:text="Hello Widget!!" android:gravity="center"/>

</LinearLayout>


Provider용 xml 파일을 생성한다.



생성한 Provider용 XML에 Widget의 크기와 layout용 xml 파일을 설정한다. 



Project Manifest 에 Receiver 추가한다. 추가하고 Widget List에 표시될 이름을 Label에 입력한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appwidget-provider
xmlns:android="http://schemas.android.com/apk/res/android"
android:updatePeriodMillis="0"
android:minWidth="146dp"
android:minHeight="72dp"
android:initialLayout="@layout/hellowidget">

</appwidget-provider>


생성된 Receiver 에 Intent Filter를 추가한다.



추가된 Intent Filter 에 Action을 추가한다.



추가된 Action에 "android.appwidget.action.APPWIDGET_UPDATE" 를 입력한다.



Receiver 에 Meta Data를 추가한다. 



추가된 Meta Data에 이름으로 android.appwidget.provider를 Resoruce에 이미 생성한 provider를 위한 xml 파을을 설정한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manifest xmlns:android="http://schemas.android.com/apk/res/android"
package="neosoft.neodreamer.widget"
android:versionCode="1"
android:versionName="1.0" >

<uses-sdk android:minSdkVersion="8" />

<application
android:icon="@drawable/ic_launcher"
android:label="@string/app_name" >
<receiver android:label="Hello Widget" android:name="HelloWidget">
<intent-filter>
<action android:name="android.appwidget.action.APPWIDGET_UPDATE"/>
</intent-filter>
<meta-data
android:resource="@xml/hellowidgetprov"
android:name="android.appwidget.provider"/>
</receiver>
</application>

</manifest>


다시 Receiver를 선택하고 Attributes에서 Name* 을 클릭하여 클래스를 생성한다.



클래스 생성시 Superclass에 android.appwidget.AppWidgetProvider를 지정하고 클래스를 생성한다.



생성한 클래스 소스에서 오른쪽 팝업메뉴의 Source 에서 "Override/Implement Methods..."를 선택한다.



메소드 중에서 "onUpdate"를 Override 한다.



생성을 하고 실행을 하면 Emulator는 아무런 반응이 없다. Eclipse의 로그에 실행할 Activity가 없어 Install만 되었다는 메세지가 출력된다.



Emulator의 Home Screen에서 메뉴 버튼을 눌러 Widget를 추가한다.







위젯을 등록하면 아주 간단한 Widget이 Home Screen에 보여진다.



기술적인 내용이 없이 이미지만으로 위젯을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보다 자세한 설명을 위해서는 좀 더 공부를

Original Post : http://neodreamer-dev.tistory.com/648